본문 바로가기
아무거나

[한국? 중국?] 짜장면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.

by 오나의인생아 2025. 8. 18.

짜장면의 유래와 역사: 한국인의 소울푸드가 되기까지

한국인의 대표적인 외식 메뉴로 꼽히는 짜장면은 단순한 한 끼 음식이 아니라, 근대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걸어온 음식 문화의 역사이기도 합니다.

1. 짜장면의 뿌리: 중국 산둥에서 인천 차이나타운으로

짜장면은 원래 중국 북방, 특히 산둥(山東) 지역에서 먹던 자장면(炸醬麵)이 그 기원입니다. 1883년 인천 개항 이후 산둥 출신 화교들이 인천 차이나타운에 정착하면서 전해졌습니다.

 

2. 공화춘과 한국 짜장면의 시작

짜장면을 한국에서 처음 판매한 곳은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화춘이라 거론됩니다.
- 한국학중앙연구원: 1905년경 판매 시작
- 국가유산청: 1908년 무렵 공화춘 건물 건립
따라서 1905~1908년 사이에 한국 짜장면이 시작된 것으로 봅니다.

(1세대 화교 출신들은 공화춘 판매 이전부터 이미 판매되고 있었다고 한다.)

3. 검고 달콤한 소스의 탄생

초기 자장면은 갈색빛의 덜 단맛 소스였으나, 1948년 화교 요리사 왕송산이 춘장에 캐러멜을 넣어 오늘날의 검고 달콤한 짜장 소스를 만들어냈다고 기록되고 있습니다.

 

4. 짜장면의 대중화

처음에는 인천항 부두 노동자들의 음식이었으나, 1960~70년대 도시화와 외식 문화 확산으로 전국적 대중 음식으로 자리잡았습니다.

 

5. 문화유산으로 남은 짜장면

공화춘 건물은 현재 국가등록문화유산 제24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, 2012년 짜장면박물관으로 개관했습니다.

 

6. 짜장면과 자장면, 어떤 게 맞을까?

2011년 8월 31일, 국립국어원이 짜장면도 표준어로 인정하면서 자장면과 짜장면 모두 올바른 표기가 되었습니다.

 

정리

  • 기원: 중국 산둥 자장면 → 인천 차이나타운 전래
  • 한국화: 1948년 춘장 개발 → 검고 달콤한 소스
  • 대중화: 1960~70년대 전국 확산
  • 문화유산: 공화춘 건물 → 짜장면박물관
  • 표기: 2011년부터 짜장면·자장면 모두 표준어